본문 바로가기

주식, 가상회폐

2021-08.24 리포트 정리

반응형

<참고만 하세요>

 

[증시조정 점검 및 투자전략 : 반도체중심으로]

반도체 고점 논란

선반영한 재고순환지수

8월 외인 매도 삼성전자, 삼성전자우, SK하이닉스 집중

지금은 경기 피크아웃 선반영 

우리나라 증시는 반도체때문에 먼저 조정

증시 반등하려면 수요개선, 주주환원정책, 비메모리 확장성 확인필요

 

[반도체와 테이퍼링 우려, 하락장 판단은 일러]

반도체 고점논란, 조기 테이퍼링 이슈

잭슨홀미팅 후 연준의산의 발언 중요

외국인 주주 배당금 송금 이슈로 인한 일시적 약세

2분기 배당금만 외국인 1조원 확보 그로인한 일시적 원화약세

하락장 시작은 아니다

글로벌 경기 반등

인도 확진자 40만명에서 2만명으로 축소

한국 2022년까지 실적 개선 지속

과거 매출과 이익이 동반하는 성장 구간 하단(2020~2011년) 코스피 바닥은 3009로 추정

 

[CJ제일제당]

목표주가 70만원 유지

바이오 식품부문 상호보완 효과로 실적 상승세 지속 전망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플라스틱 

레드바이오 : 대체육

그린바이오 : 사료

PER 9배 

 

[셀트리온]

목표주가 32만원 유지

렉키로나의 시간이 다가온다

4일간 IT진행

렉키로나 미국에서 EUA 사전미팅을 진행, 조만간 신청 예정

하반기실적

유럽에서는 3월 사용 권고의견 받음

2분기 실적 저점

 

[와이더플래닛]

목표주가 37000원 유지

전환사채 발행, 자금조달 

이자율 0%, 전환가약은 24500원

 

[레이크머티리얼즈]

SK그룹의 IT소재회사인 SK머티리얼즈 합병

SK트리켐(머티리얼즈 25% 이익 차지)

SK트리켐에 전구체 공급계약

2분기 호실적의 원인

연간 영업이익 200억 넘을것으로 전망

 

[테이팩스]

유니랩 만드는 회사

한솔케미칼 인수

2차전지용 테이프로 고성장

현재PER 16.8배

 

[SK머트리얼즈]

SK와 합병결정

SK 1 : 머트리얼즈 1.58

SK 30만원시 SK머티리얼즈는 47만원 고정

주주의 18%가 반대하면 무산될 가능성

매수청구권가격은 415000원

합병기일 12월1일

 

[제일기획]

목표주가 31000원 상향

사상최대실적 발표 후 급락

코로나 수혜주

디지털 광고 확대 수혜

3분기도 실적 기대, 디지털 비중 50% 이상 전망

 

[SK]

목표주가 45만원 

합병이슈는 긍정적

파이낸셜 스토리, 시총 140조원 

소재 사업 키우고 SK가치를 증가시키는 목적 

 

[펀더멘털과 엇갈리는 주가]

한국콜마 보수적 대응

화장품은 호전, HK이노엔 부진

연우 : 실적 기대치 상회, 사업구조조정 완료, 이익률 5%급증

7, 8월 매출 호조, PER 12배

현대홈쇼핑 : 보수적 대응

소비재 기업 투자 유의사항

1) 2분기 실적 갖고 3분기 전망 말자

2) 화장품, 유통  중립의견 

3) 트레이딩으로 10% 목표로 대응

4) 매수기회 확대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호텔신라)

이번주 TOP PICK : GS리테일, LG생활건강

 

[폴드블폰 흥행 기대]

사전판매 80만대 전망

전작의 10배

갤노트 20보다도 1.5~2배 빠른 상황

KH바텍, 파인테크닉스, 이녹스첨단, 비에이치, 세경하이테크

 

[3분기 PCB, 탄탄대로]

2분기 삼성전자 스마트폰 판매량 감소로 중소형 휴대폰 부품 업체의 실적 부진

반면 심텍, 대덕전자 반도체 PCB 중심의 매출 확대 

영업이익 전분기대비 심텍 77.7%, 대덕전자 143.3% 증가

5G 전환으로 수요 증가 등 반도체 PCB 산업 호황, 반사이익과 낙수효과 존재

심텍과 대덕전자는 3분기 OP 19.9%, 43%증가 

 

[시멘트]

유연탄 가격 상승은 부담

순환연료 (폐플라스틱)사용으로 유연탄비중 축소

TOP PICK 아세아시멘트, 한일 시멘트

 

[이번 조정이 유독 억울한 건설/건자재]

테이퍼링 이슈.

건설주는 과거 10년치를 보면 금리와 큰 영향은 없음

신규주택담보대출 승인 중단 발표

분양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

준공을 앞둔 시점에 주담대시행

아파트공급대수 지난해대비 2만세대 증가

대형사 신규수주 지속 상승, 실적도 호조

건자재도 긍정적(마감재)

적극적 매수 타이밍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