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가상회폐

가을 증시 전망

홀얌이 2021. 10. 12. 18:54
반응형

<참고만 하세요>

 

[가을엔 소외된 것들을 돌아보게 하소서]

 

코스피 9개월째 기간 조정 / 상반기 횡보, 여름 조정이라는 전망했었음

경기둔화 + 연준긴축 시기의 반복된 잡음

주식 보수적 시각에서 벗어나 저가 매수를 하자

조정이 커질수록 밸류 매력 높아진다

코스피 하단 2900 기존 의견 유지함 

PER 10배임

고점대비 10% 조정구간

 

1년 유동성 랠리

1~1.5년 긴춘조정

1.5~2년 반등랠리(긴축 조정이후 밸류매력 높아지며 반등하는 구간)

86년, 94년, 2004년, 2009년, 2021년

경기사이클이 고점을 찍고 둔화가 시작된 시기에 연준 긴춘 댗체로 나타남

사이클 고점에서 지표가 가장 좋게 나오기 때문에 

연준은 통화정책을 결정하는데는 경제레벨이 더 중요

주식 시장은 경기모멘텀이 더 중요함

중앙은행들은 경기사이클 고점일 때 긴축을 항상 검토하고 사이클이 꺾인 이후에 긴축을 결정하는 패턴을 반복

지금도 마찬가지

이럴 때 증시는 17% 평균적으로 빠짐, 여기가 2700포인트

다만 이번엔 기간 조정이라 거기까지는 안감

 

가장 신경 쓰이는 건 인플레이션 압력

헝다 리스트는 크지 않음

덴마크 담보가치는 튼튼

미국 모기지기초자낫은 엉망(가계부채는 미국이 GDP대비 99%, 덴마크는 134%) / 누구한테 빌려줬느냐가 관건

헝다는 부동산이라는 담보가 있음

무리한 파생상품도 없음

그리고 헝다 채권자들은 대부분 중국은행

일본은 과거 그리스보다 정부부채가 많았지만 일본의 채권자는 일본 국민들이 대부분

그리스는 유럽연합

자식에게 돈을 빌려준 아버지처럼 일본은 기다렸지만 그리스 채권자들은 돈 갚으라고 압력

헝다그룹의 단기채권중 달러 표시 채권 비중은 낮음

인프레 자극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노동력 공급 부족

기대 인플레가 금리 상승을 주도하는 건 좋음, 경기회복을 의미

지금은 실질 금리가 상상하는 국면 

기대 인플레는 오르지않고 경기회복보다는 연준의 긴축을 더 반영하는 증거라 시장에 부담

기대인플레 상승, 실질 금리 하락이 필요

공급부족도 물가 압력 높이는 요인

다만 이런 요인들은 단기적일 가능성 높음, 시간이 가면서 물가는 안정될 듯

 

반등의 트리거 : 통화, 재정정책 주목 / 공급병목 완화 확인

내년상반기까지 경기, 이익모멘텀 기댈게 없음

반등의 트리거는 펀더멘탈보다는 밸류에이션 요인에서 나올 듯

밸류에이션 반등위해서는 유동성 확대가 필요

중국 정책 기대

연준긴축, 중국 PMI 50이하에서는 중국이 항상 정책전환이 있었음, 지준율 인하 기대

ISM 지수에서 납기 / 배송 지표와 상하이 컨테이너선 운임지수 꺾이고 있음

금리 상승은 쉽지 않음, 긴축이 아니라 경기사이클이 금리를 결정

추세적 국채금리 상승 어려움, ISM제조업지수와 국채금리는 같은 방향으로 감

 

여전히 중소형 성장주 컨텐츠, 친환경 유리 / 여가시간확대는 컨텐츠에 유리 / 기업들의 과대 현금은 M&A와 

투자로 이어질듯 POSCO, SK 등등 신사업 추진 기업 관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