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가상회폐

2021-09.18 리포트 정리

홀얌이 2021. 9. 18. 20:19
반응형

<참고만 하세요>

 

[농심]

목표주가 40만원 상향

하반기부터 점진적 회복 시작

가격 인상 효과가 4분기부터 반영 그러나 구조적 성장 산업은 아님

비용절감 가격인상으로 최저점은 지나갔다, 2분기 바닥

 

[삼성전자]

목표주가 10만원 유지

3분기 실적 16조원 전망

매출 역대 최대(그동안 매출이 늘지 않아 주가가 상승하지 못했음)

분기 영업이익은 역대 2번째

실적 좋다고 주식이 상승하는 기업은 아님

메모리 업홍 다운턴은 폭이 얇을 전망

시총 3000억달러 이상 기업중 가장 저렴하면서 가장 못오른 기업

 

[롯데케미칼]

3분기 이익 부진 전망

원재료 비용 부담

하반기는 부진 불가피 

중장기로는 긍정적

수요는 견고

중국 공급증가도 피크를 지나는 상황

바닥을 맞출 수 없다면 비중을 늘리자

친환경 사업 기대

반등에 대비

 

[금호석유]

목표주가 38만원 하향

3분기는 이익 전분기 대비 감소

부타디엔(고무원재료) 가격 하락, 동남아 수출 증가로 합성고무 수익성 회복 기대

동남아가 펜더믹에서 벗어나면 NB라텍스 장갑 수출이 재개되면 합성고무 수익성 회복 기대 

배당수익률 5.7%

PER 4.4배

 

[한라홀딩스]

목표주가 64000원 유지

2차전지용 분리막 제조사 WCP 1000억 투자

삼성SDI와 공급(WCP)

 

[현대중공업]

컨테이너선 운임 급증이 발주로 확산

신조선가지수는 2010년 이후 최고치 회복

컨테이너선 초호황, 벌크선도 회복세, LNG선이 비수기로 가는것이 부담

과거 중국 원자재 수퍼 사이클만나 엄청난 주가 상승

앞으로 노후선 폐지 > 친환경선 수요 증가, 선가 상승 

2023년까지 낙관적 회복을 선반영하면, 생산능력 1.5배 수준의 수주도 기대

PBR 1.5배가 예측 가능한 적정 수준

규제강화 + 유가 상승으로 저효율선 퇴출

다음 슈퍼 싸이클 트리거는 연료변화

기존 오일에서 암모니아/액화/압축수소 메탄올 바이오 디젤 등 가스의 대체연료 

현대중공업은 선박의 연료가 바뀌면 최대 수혜기업

 

[피엔티]

2차전지 장비회사 롤투롤 장비, 동박제조 장비 생산

국내 3사 매출비중 80%(중국 10%)

국내에서 장비회사중 매출이 가장큼 

올해 영업이익 615억 예상, 시총이 7600억

중국 매출은 줄고 있고, LG,SK 쪽으로 매출이 늘어나고 있음

지금 설비투자를 많이해서 수혜가 클듯

저평가 매력

 

[엠플러스]

조립공정 전문업체

주요고객 SK이노베이션, 중국 SVOLT

SK 투자확대의 수혜예상

 

[이그전, 플랫폼 규제에 대한 이그전의 생각과 수혜주 추천]

20년전 통신사가 갑 콘텐츠가 을

20년동안 통신사는 주가 급락(당시 sk텔레콤 시총2위 현재 19위), 다만 시장은 오히려 상승

콘텐츠 회사들이 주가 상승 영향으로 통신사 급락을 방어

플랫폼 규제 지속, 규제와 싸우지말고 수혜주를 찾자

게임, 웹툰, 드라마, 엔터 콘텐츠 기업이 수혜

 

[자동차, 8월 유럽 판매]

현대기아 합산 점유율 역대최고, 10%상회

유럽 전체 판매는 -18%

반도체 쇼티지로 인한 생산차질 9월이후 회복 기대

4분기부터는 부품주도 주가 회복 기대

 

[휴대폰, 아이폰13 중국 사전예약 반응 호조]

징둥닷컴 사전예약, 전작이 150만대, 이번작은 200만대 주문

시장은 아이폰13을 기대안하는 모습

우려보다는 양호한 판매 기대

화웨이 몰락으로 인해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제외하고는 대안 없음

가격도 용량 증가에도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

TOP PICK : LG이노텍, 비에이치

 

[조선, 수주 증가 전망]

3~4년 주기로 싸이클 반복

작년 말부터 진행되는 싸이클에 지금은 강세 초기 싸이클 진행중 

후판가겨 상승으로 공격적인 선가 인상 가능 

조기발주도 기대

긍정적인 흐름을 기대해도 좋음

[유통, 마트도 하이퍼로컬]

하이퍼로컬 : 동네 생활권, 당근마켓

대형 할인마트가 이를 활용 

월마트 : 자동차 영화관, 헬스케어 센터 

이마트 월계점 리모델링해서 체류시간 증가

이마트가 리모델링 지속 증가 전망(하반기 16개정도, 작년부터 총28개정도), 매출 2% 증가 전망

스타벅스 지분도 매력적

PER 8.3배 

 

 

반응형